Logo
i
>> 글 이어보기 <<
정치색 없이 지금 우리나라 상황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저는 아직 고등학생이고 사실 정치에 대한 생각이 별로 없었습니다. 아직
페이코 타인계정 도난신고 접수 문자 안녕하세요 제 와이프가 베트남 사람입니다 이번에 아이클라우드 결제를 위해 페이코로
다낭 호텔 추천부탁드립니다~!! 다낭 처음인데 수영장 큰데로 가고싶어서요!!객실에 욕조도 있으면 더 좋고요,,!!!이중에서 제일
에이블리 나이키 맨투맨 에이블리에서 이 맨투맨 사려고 하는데 짭인가요?사람들이 에이블리는 다 짭이다 ,
트럼프 관세 있어요 수출에 관세를 부과해서 비싸게 팔아야지수입에 관세를 부과해서 비싸게 사는이유가 뭔가요??미국인들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영어 관련된 직업 추천해주세용..! 원래 승무원이 꿈인데 키가 작은 이슈로..ㅎㅎ힘들거 같다는 얘기를 많이 들어서
위에 글 이어보기 클릭하면 더 볼 수있어요
영어 관련된 직업 추천해주세용..! 원래 승무원이 꿈인데 키가 작은 이슈로..ㅎㅎ힘들거 같다는 얘기를 많이 들어서
원래 승무원이 꿈인데 키가 작은 이슈로..ㅎㅎ힘들거 같다는 얘기를 많이 들어서 영어를 좋아하고 잘해서 외고 준비하고있거든요!(중어과,일어과 둘중 하나 가려고해용)그래서 영어 관련된 직업이 궁금해져서 글을 씁니다아..1. 한국 미대사관에도 한국인 직원이 있는지 알려주세용2.대사관에서 일하려면 어떤 대학/학과를 가야하나용?3.영어 관련된 직업추천해주시구그 직업하려면 어떤 대학/학과 가야되는지 알려주세용
i
1. 주한 미국 대사관에도 한국인 직원이 있는지?
네, 당연히 있습니다! 미국 대사관뿐만 아니라 세계 각국에 있는 모든 대사관이나 영사관은 외교관(해당 국가 공무원) 외에도 현지 국가의 국민들을 많이 채용합니다. 이 분들을 보통 현지 채용 직원 (Locally Employed Staff, LE Staff 또는 Foreign Service Nationals, FSN) 이라고 부릅니다.
이분들은 대사관 운영에 필수적인 다양한 업무를 담당합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역할들이 있습니다.
행정 및 관리 지원 (비서, 사무 보조 등)
번역 및 통역
영사 업무 보조 (비자 관련 업무 지원 등)
공보 문화 활동 지원 (행사 기획, 홍보 등)
정보 기술(IT) 지원
시설 관리, 운전, 보안 등
따라서 주한 미국 대사관에서도 많은 한국인 직원분들이 다양한 분야에서 근무하고 계십니다.
2. 대사관에서 일하려면 어떤 대학/학과를 가야 하나요?
특정 학과를 나와야만 대사관에서 일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대사관 내의 직무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어떤 역할을 하고 싶은지에 따라 필요한 전공이나 자격 요건이 달라집니다.
국제관계학과, 정치외교학과, 지역학과: 국제 정세, 외교 정책, 특정 국가나 지역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 분석가, 공보/문화 담당 보조 등의 역할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영어영문학과, 통번역학과, 기타 외국어 관련 학과: 번역, 통역, 커뮤니케이션 관련 업무에 필수적입니다. 특히 영어를 포함하여 제2외국어(중국어, 일본어 등 외고에서 배우실 언어) 능력까지 갖춘다면 경쟁력이 있습니다.
경영학과, 행정학과, 경제학과: 대사관 내 행정, 예산 관리, 경제 관련 업무 등에 지원할 때 관련 지식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신문방송학과,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공보과 등에서 언론 대응, 홍보, 소셜 미디어 관리 등의 업무를 할 때 유리할 수 있습니다.
법학과: 영사 업무나 법률 관련 자문 역할(매우 드묾)에 필요할 수 있습니다.
컴퓨터공학과 등 IT 관련 학과: 대사관 내 IT 시스템 관리 및 지원 업무에 필요합니다.
하지만 특정 학과 졸업보다 더 중요한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뛰어난 영어 실력: (필수) 업무 대부분이 영어로 이루어지거나 영어를 매개로 합니다. 읽기, 쓰기, 듣기, 말하기 모두 능통해야 합니다.
해당 직무 관련 경력 또는 전문성: 지원하는 포지션에서 요구하는 실무 능력이나 경력이 중요합니다. (예: 번역 경력, 행사 기획 경험, 행정 업무 경험 등)
해당 국가(미국) 및 한국 문화/사회에 대한 이해도: 양국 간의 가교 역할을 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컴퓨터 활용 능력 및 기타 직무 기술: 기본적인 OA 능력은 필수이며, 직무에 따라 특정 프로그램 활용 능력이 요구될 수 있습니다.
보안 신원 조회 통과: 대사관 근무는 보안이 중요하므로 신원 조회 절차를 통과해야 합니다.
채용 공고 확인이 중요: 가장 정확한 정보는 주한 미국 대사관 홈페이지에 주기적으로 올라오는 **채용 공고(Job Vacancies)**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각 공고마다 필요한 자격 요건(학력, 경력, 언어 능력 등)이 상세히 나와 있습니다.
3. 영어 관련된 직업 추천 및 관련 학과
영어를 좋아하고 잘한다면 정말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할 수 있습니다! 몇 가지 예를 들어볼게요.
번역가/통역사:
하는 일: 외국어로 된 문서, 영상 등을 한국어로 옮기거나 그 반대로 작업(번역), 국제회의나 비즈니스 미팅 등에서 언어 소통을 도움(통역).
관련 학과: 영어영문학과, 통번역대학원(전문 통번역사가 되려면 필수적인 경우가 많음), 특정 외국어 학과 (중국어, 일본어 등).
필요 역량: 뛰어난 양방향 언어 구사 능력, 해당 분야 전문 지식, 꼼꼼함, 순발력(통역).
국제기구 직원:
하는 일: UN, 유네스코, OECD 등 국제기구에서 근무하며 국제 협력, 개발, 연구, 행정 등 다양한 업무 수행.
관련 학과: 국제관계학과, 정치외교학과, 경제학과, 개발학과, 법학과, 어문계열 등 매우 다양. 석사 이상 학위가 요구되는 경우가 많음.
필요 역량: 뛰어난 영어 실력(필수) 및 제2외국어 능력, 국제적 감각, 해당 분야 전문성, 봉사 정신, 분석력. 채용 경쟁이 매우 치열함.
해외 영업/마케팅 전문가:
하는 일: 국내 기업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해외 시장에 판매하거나 홍보. 해외 바이어 상담, 계약 진행, 현지 시장 분석 등.
관련 학과: 국제통상학과, 경영학과, 경제학과, 무역학과, 어문계열.
필요 역량: 뛰어난 영어(및 현지 언어) 소통 능력, 비즈니스 매너, 협상력, 시장 분석력, 적극성.
외신 기자/해외 특파원:
하는 일: 해외 언론사 소속으로 한국 소식을 취재하거나, 국내 언론사 소속으로 해외 소식을 취재하여 보도.
관련 학과: 신문방송학과,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정치외교학과, 어문계열.
필요 역량: 뛰어난 영어(및 현지 언어) 능력, 취재 및 기사 작성 능력, 국제 정세 및 문화 이해도, 순발력, 체력.
영어 교사/교수/강사:
하는 일: 중고등학교, 대학교, 어학원 등에서 영어를 가르침.
관련 학과: 영어교육과, 영어영문학과(교직 이수), 교육대학원. (대학교수는 박사 학위 필요)
필요 역량: 영어 능력, 교수법, 학생에 대한 이해와 열정, 전달력.
호텔리어/관광 전문가 (국제 분야):
하는 일: 외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하는 호텔(프런트, 컨시어지, 마케팅 등)이나 여행사(상품 기획, 인솔 등)에서 근무. 항공사 지상직도 관련될 수 있음.
관련 학과: 호텔경영학과, 관광경영학과, 어문계열.
필요 역량: 뛰어난 영어(및 제2외국어) 소통 능력, 서비스 마인드, 문제 해결 능력, 문화 이해도. (승무원과 비슷한 서비스 역량이 필요할 수 있어요!)
중요 포인트:
외고 진학은 훌륭한 선택: 외고에서 중국어나 일본어를 배우면서 영어 실력까지 꾸준히 갈고 닦으면 3개 국어 능력자가 될 수 있습니다. 이는 어떤 분야를 선택하든 엄청난 강점이 될 거예요!
영어 + α: 단순히 영어만 잘하는 것보다, **영어 + 특정 분야의 전문성(무역, IT, 외교, 교육 등)**을 함께 갖추는 것이 취업 시장에서 훨씬 유리합니다. 어떤 분야에 흥미가 있는지 계속 탐색해 보세요.
다양한 경험: 대학에 가서 교환 학생, 해외 봉사, 인턴십 등 영어를 실제로 사용하고 다양한 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