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증권MTS 환차손익 표기에 대해서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미래에셋증권 MTS를 사용하는 고객입니다.제가 아직 주식 초보라 질문드립니다.글작성시간 3월
미래에셋증권MTS 환차손익 표기에 대해서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미래에셋증권 MTS를 사용하는 고객입니다.제가 아직 주식 초보라 질문드립니다.글작성시간 3월
안녕하세요 미래에셋증권 MTS를 사용하는 고객입니다.제가 아직 주식 초보라 질문드립니다.글작성시간 3월 1일 새벽기준으로 미래에셋 해외주식잔고 > 환차 > 해외주식 환차손익잔고에서 기준환율이 1439원으로 표기되고 있습니다.그런데 이번에 한은이 금리 인하해서 환율이 1460원까지 뛰었단 말이죠?그래서 이 차이가 21원이나 나고 있습니다.이에 대해 제 스스로 생각해보았는데 미국 주식을 원화로 매수하면 그때 당시의 매입환율이 있을건데 매도할 때는 계좌에 달러로 입금이 되잖아요?그렇다면 결국 환차손익이라는 것은 제가 주식을 매도하는 시점이 아니라 매도 후 계좌에 입금된 달러를 원화로 다시 환전하는 시점에 확정이 되는지 않을까 추측해보았습니다.제 생각이 맞다면 미래에셋에서 제공하는 기준환율은 임의적으로 고객들의 편의를 위해 제공하는 것이지 주식을 매도하는 시점에 표기된 기준환율로 그 환차손익이 확정된다는 의미가 아니겠지요? 이에 대해 답변해주시면 안심하고 매매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해외 주식의 환차손익(환율 변동으로 인한 손익)은 주식을 매도하는 시점이 아니라, 매도 후 계좌에 입금된 달러를 원화로 환전하는 시점에 확정됩니다.
원화(KRW)로 환전하여 달러(USD)를 매입한 후 주식을 구매합니다.
주식을 매도하면 달러(USD)로 계좌에 입금됩니다.
이 시점에서 미래에셋 MTS에서 보여주는 "기준환율"은 단순 참고용이며, 실제 적용되는 환율이 아닙니다.
계좌에 남아 있는 달러를 원화로 환전할 때 적용된 환율이 "매도환율"입니다.
따라서, 환차손익은 이 환전 시점의 환율을 기준으로 확정됩니다.
즉, 미래에셋에서 제공하는 "기준환율"은 단순한 참고용 수치이며, 매도 시점의 환율로 환차손익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원화로 환전하는 시점의 환율에 따라 변동됩니다.
Tip: 환율 변동을 고려하여 환전 타이밍을 조절하면 환차손익을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안심하고 투자하시고, 추가로 궁금한 점 있으면 언제든 질문하세요!
Couldn’t sign you in The browser you’re using doesn’t support JavaScript, or has JavaScript turned off. To keep your Google Account secure, try signing in on a browser that has JavaScript turned on. Learn more Help Privacy Ter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