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경우는 왜 그런건가요? 폭력이라는 단어로 예를 들어볼게요. 보우료쿠 (보-료쿠) 폭력이라는 뜻이잖아요?생각으로는 바로 보-료쿠라고
폭력이라는 단어로 예를 들어볼게요. 보우료쿠 (보-료쿠) 폭력이라는 뜻이잖아요?생각으로는 바로 보-료쿠라고 떠오르는데막상 청해 대사에 나오게 되잖아요?순간 멍때리게 됩니다.
개인적으로 이런 질문들이 간혹 학원에서 강의를 했을때나,
이렇게 지식인을 통해서 날라오는 경우가 있는데,
인풋 - 아웃풋 쪽에서의 밸런스가 안 맞춰져 있어서 그런게 아닐까요? ^^
아웃풋 = 글 (작문) / 쓰기 (한자) / 회화 / 말하기 등등의 액션
결국 흔하게 들은 단어가 얼마나 있느냐가 청해 점수가 왔다리갔다리 하거든요??
말씀하신 것처럼, 다시 한 번 곱씹어봤을 때 이런 경우라면 그래도 낫다고 봅니다.
이런 것도 없이 그냥 머리가 새하얘지는 분들도 참 많거든요... ^^;;;
매체를 꾸준하게 접하면서 오래 접하신 분들이라면 귀신 같이 캐치를 잘 하시는데 (외운걸 그대로 아웃풋을 잘 하는)
이게 막상 들었을 때 바로 머릿속에서 한국말로 치환이 되어서 들어오는게 사람마다 천차만별이기는 합니다만....
아니면 그 때만큼은 머리가 막 어지러운 ..... 그런 경우도 있죠 ^^;;;
청해 같은 경우는 일본어가 잘 들리는 분들이라면 시험 직전에 트레이닝 하고 들어가셔도 되시겠지만,
꾸준하게 듣는걸로 트레이닝을 해 주셔야 합니다.
내가 평상시 일본인이랑 회화하는데 지장이 없고,
아나운서가 깔끔한 발음으로 내는데도 불구하고,
단어가 한국어로 치환이 안 되어서 뭔 아이러니한 상황이 연출되는지......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일상 생활에서 흔하게 쓰여지지 않는 단어들이 다수이고,
한국식 접근이 아닌 " 일본식 접근 " 으로 쓰여지는 것들도 다수 있다보니 이런 단어들이 우리한테는 익숙치 않다보니
그들이 발음을 흘려서 해도 일상 생활에 사용되어지는 단어는 그리 급이 높은 것들이 많이 없다고 개인적으로 생각되어지는데,
그런 것들은 " 자주 " , " 질리도록 " 듣다보니,
고등생, 혹은 학문에서 사용되어지는 조금 흔하게 구경할 수 없는 단어들이 많다보니,
녹음된 아나운서의 발음이 준내 깔끔하고 잘 들리는데,
이상하게 한국말로 치환되어서 머릿속에 들어오진 않더라구요....
여기서 참 많이 실력이 올라갔다는 생각이 듭니다.
맨날 질리도록 교수님들 수업 들으면서 들리게 된 것이죠...
친구들이랑 스타디 그룹 만들어서 공부했을 때 입버릇처럼 계속 다뤘으니... ^^;;;
독해 + 청해를 " 최소 1달 " 정도 잡으셔야 해요~
청해가 취약하다고 하면 1달 가지고는 많이 부족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ㅠㅠ
결국 들릴 때까지 또는 들었을 때 바로 한국말로 치환이 되어서 해석이 되어지는 경지까지 꾸준하게 반복 학습하셔야 합니다 ^^;;;
많은 JLPT 학습자들이 공통적으로 겪고 있는 성장통 중의 하나라고 봅니다!
하나 조언이라고 하면 조언이라고 할 수 있겠지만,
일단 내가 외웠던 표현이나 단어들을 얼마나 캐치해낼 수 있는지부터 해서 조금씩 비중을 늘려가시는 게 오히려 좋습니다.
무조건 모든 내용을 다 들어야 문제가 풀리는 그런 건 또 아니라서
단어 같은 것만 잘 캐치해내도 문제는 풀리게 되어있거든요 ^^!
레벨은 낮은데 당연히 모든 단어를 알고 계시는 건 또 아니기 때문에
일단은 적은 비중이라도 좋으니깐 내가 지문을 들었을 때 들리는게 얼마나 있는지
못 들은 건 추후에 다시 그 지문을 들으셨을 때 떠올리실 수 있느냐,
분명 다른 지문에서 또 재활용이 되어있을테니 이런 걸 반복 및 순환해서 가지고 가면 조금 늘지 않을까 싶기는 합니다.